It is(was)~that…구문이 가주어 구문인지, 아니면 강조를 위한 구문인지 도저히 구분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필이면 왜 이런 문제가 시험에는 출제가 되는지 야속하기만 합니다. 더군다나 뭔 소리인지 하나도 알아들을 수가 없으니 죽을 지경입니다. 우선 마음을 가라 앉히고 강조구문이 무엇인지 첫 단계로 가보시는게 좋습니다.
● It is(was)~that…은 가주어 구문일까? 강조구문일까?
It is(was)~that… 에서 미줄친 부분을 생략하여도 문장이 성립하면 강조구문이고, 문법적으로 문장이 성립하지 않으면 가주어 구문이 되는 것입니다. 살펴 볼까요?
I met her in the park yesterday.
1. 주어를 강조
It was I that met her in the park yesterday. 어제 공원에서 그녀를 만났던 사람은 바로 나다.
위의 문장에서 푸른 색으로 된 It is(was)~that을 생략하여도 I met her in the park yesterday.로서 문법적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주어(I)'를 강조한 「강조구문」이다.
2. 목적어를 강조
It was her that I met in the park yesterday. 내가 어제 공원에서 만났던 사람은 바로 그녀다.
위의 문장에서 푸른 색으로 된 It is(was)~that을 생략하면 목적어 'her'가 문장 첫머리에 나와서 도치가 되므로 문법적으로 이상이 없는 Her I met her in the park yesterday. 라는 문장이 성립한다. '목적주(her)'를 강조한 「강조구문」이다.
3.부사구를 강조
It was in the park that I met her yesterday. 내가 어제 그녀를 만났던 곳은 바로 공원에서다.
위의 문장에서 푸른 색으로 된 It is(was)~that을 생략하면 장소를 나타내는 부사구 'in the park'가 문장 첫머리에 나와서 도치가 되므로 문법적으로 이상이 없는 In the park I met her in the park yesterday. 라는 문장이 성립한다. '부사구(in the park)'를 강조한 「강조구문」이다.
4. 부사 강조
It was yesterday that I met her in the park. 내가그녀를 공원에서 만났던 날은 바로 어제이다.
위의 문장에서 푸른 색으로 된 It is(was)~that을 생략하면 장소를 나타내는 부사 'yesterday'가 문장 첫머리에 나와서 도치가 되므로 문법적으로 이상이 없는 Yesterday I met her in the park. 라는 문장이 성립한다. '부사(in the park)'를 강조한 「강조구문」이다.
● It is(was)~that…이 가주어 구문인 경우
It is(was)~that… 에서 미줄친 부분을 생략하여도 문장이 성립하면 강조구문이고, 문법적으로 문장이 성립하지 않으면 가주어 구문이 되는 것입니다.
① It was certain that he killed himself.
② It was widely reported that he killed himself.
③ It is a pity that he can't join us for overseas travel!
위의 ①문장은 It is(was)~that… 을 생략하면 형용사 certain이 보어로서 쓸 수도 없고, 문법적으로 맞지도 않습니다. ②과 ③번 문장 역시 that이하의 문장에서 문장성분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강조구문이 아니라 「가주어」구문으로 보는 것이 합당합니다.
((참고)) 진주어나 진목적어로 쓰이는 명상 상당어구
■ 진주어로 쓰이는 명사 상당어구
가주어 진주어 구문은 진주어 자리에 that절만 오는 것이 아니라 to부정사와 동명사, 명사 상당어구가 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It is a good habit to keep(=keeping) early hours. 시간을 일찍 지키는 것은 좋은 습관이다.
=To keep(=keeping) early hours is a good habit .
It is of no use crying(=to cry over) over spilled milk. 우유를 쏟고 울어야 아무 소용없다.
=Crying over spilled milk is of no use .
■ 진주어로 쓰이는 명사 상당어구
진목적어는 5형식 동사(think, consider, find, believe, make...)에서 가주어와 같이 it가 목적어로 쓰인다는 것만 차이가 나는 것입니다. 주의할 점은 진목적어로서 to부정사가 주로 쓰인다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입니다.
I think it (to be) a good habit to keep early hours. [5형식]
나는 시간을 일찍 지키는 것이 좋은 습관이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해석에 주의!!]
=I think it a good habit that we keep early hours. [5형식]
=I think it is a good habit that one keep early hours. [5형식]
= I(S) think(V) that it is a good habit to keep early hours(O[명사절]). [3형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