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공/부/와/스/토/리1/9/7/0
  • 홈
  • 사이트맵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이 블로그에 게시된 글 수 (508)
      • 영문법 (172)
      • 영어성경공부 (13)
        • 창세기(Genesis) (10)
        • 잠언(Proverbs) (3)
      • VOCA (71)
        • 중등 (35)
        • 고등 (9)
        • 토익 (3)
        • 숙어 (8)
      • 독해자료 (16)
      • 회화 (10)
      • 연습문제 (11)
        • 문법연습 (6)
        • 수능연습 (5)
      • 기출문제분석 (32)
      • 영어성적올리기 (9)
      • 영어참고서 (53)
      • 영어로 글 써보기 (44)
        • 영어로 쓰는 에세이 (33)
        • 영어로 쓰는 여행기 (11)
      • 블로그 운영 팁스(Tips) (15)
      • Q&A (62)
Q&A

[영어 Q&A(46)_영어문법_부사의위치(4)]전치사적 부사,「타동사+목적어+(전치사적)부사」의 순서

2어동사의 문제는 중학교에 들어가면 출제가 가끔씩 되는 문제죠? on, off, over, up등의 전치사가 부사로 쓰인 것인지 전치사로 쓰인 것인지 몰라서 학생들 질문이 많습니다. 몇 번을 강조해도 자주 틀리는 2어동사. 「타동사+부사」의 구조를 이해하지 못하고 타동사의 위치를 어디에 두어야 하는지 갈등에 갈등을 거듭한 결과 2.5점짜리 객관식 문제 그냥 앉은 자리에서 날려버리는 안타까운 경우를 많이 보았습니다. 특히 타동사의 목적어가 대명사일 경우에는 타동사와 부사의 가운데에 둔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하겠지요. 「타동사+목적어+부사」, 「타동사+부사+목적어」로서 타동사구를 만들어서 전치사처럼 생겼을 뿐이지 실제로는 타동사뒤에 놓는 부사입니다. 타동사 다음에는 목적어가 와야지 타동사 다음에 전치사가 온..

2014. 1. 28. 04:06
Q&A

[영어 Q&A(45)_영어문법_부사의위치(3)]문장전체를 수식하는 독립부사의 위치는 어디에요?

문장전체를 수식하는 독립부사의 위치는 어디에 놓는 것이 좋을까요? 부사를 함께 공부하다보면 심심치 않게 튀어나오는 질문입니다. 센스있는 학생은 금새 눈치를 챘을 것이지만 개념 자체를 모르는 학생은 "멘붕상태"가 올 수 밖에 없습니다. 영어를 싫어하는 학생들의 대부분이 "그 까짓 위치가 뭐 중요하다고, 으이 짜증나!"라는 표현과 함께 책을 덮어버리기 때문에 영어는 갈 수록 어려운 과목으로 전락하는 이유가 됩니다. 모르면 깨 부수어서 내것으로 만들려는 의지가 중요한거 아닌가요? 그게 싫다면 일찌감치 볼펜 던지고 다른 공부하시는게 도움이 될 듯 싶네요. 독립부사는 콤마(,)로 독립하여 문장 전체를 수식하여 주는 부사를 말합니다. 이러한 독립부사는 동사나 형용사를 수식하는 수식부사(또는 부가사)와는 구별되어서 ..

2014. 1. 25. 18:00
Q&A

[영어 Q&A(44)_영어문법_부사의위치(2)]한 문장안에 조동사가 여러개 있는 경우 부사의 위치?

영어 문장에 동사가 하나만 딸랑 나오려면 좋으련만 가뜩이나 독해가 막혀서 등줄기에 식은땀이 나서 죽겄는디 도대체 부사는 어디에 두어야 이게 정확한 주관식 답을 쓸 수 있을지 눈앞에 캄캄하시죠? 저도 그런 경험 여태하고 있습니다. 남의 나라 말 배우기가 쉽다면 이 세상에 언어를 흐트려 놓으신 신의 노력이 물거품이 되는 기적이 일어나겠지요. 아마도 언어가 하나로 통일된다면 높으신 분께 도전하려는 바벨탑을 또 한번 지으려하지 않을까요? 실패한다면 더 큰 재앙이 우리를 기대리고 있을지도 모르죠. ^^ 문장에서 동사가 여러개 나온다는 것은 본동사를 제외한 나머지 동사는 조동사라는 결론이 나오겠지요. 본동사가 주어의 행동의 주인공이고 주어의 행동을 정확하게 표현해주는 말이기 때문에 본동사 (main verb)를 제..

2014. 1. 24. 00:22
영문법

[영문법_명사(23)]소유격뒤에 명사를 생략하는 독립소유격

영어 독해문제를 해결하다 보면 소유격만 달랑 나오고 뒤에 뭔 말이 오는지 생략되는 경우를 종종(often, frequently) 접하게 됩니다. 그런데 의외로 간단하게 설명되어 있는 해설서를 보면 황당하기가 그지 없죠. 사람 가지고 장난하는 것도 아니고 완전 바보가 된 느낌입니다. 어느 학생의 하소연을 토대로 독립소유격을 만나게 되었을때 느끼게 되는 황당한 심정을 간략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소유격뒤에 왜 명사를 생략한 것일까요? 아래의 그림처럼 말입니다. 사용된 예문을 볼까요? Happy is the man that loves flowers. It is a matter of gratitude that this gift of Providence is the most profusely given..

2014. 1. 22. 00:35
영문법

[영문법_명사(22)]영어 명사의 소유격과 활용방법

소유격은 인칭대명사의 주체인 사람이 사물을 소유할 경우에 사용하는 '소유관계를 나타내는 격'으로 사물에 대해서는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동물이 사물을 소유할 수 없으니까 아마도 당연한 생각입니다. 하지만 사람이나 동물, 사물을 나타내는 명사에도 소유격이 있다는 사실.... 강의시간에 이런 질문을 학생들에게 했더니 "말도 안된다!"라고 말하더군요. 예를 들자면 '고양이의 귀'는 고양이에 속해있는 고양이 몸의 일부입니다. 분명이 어떤 고양이의 소유죠. 영어로 표현하면 "the cat's ear"라고 표현합니다. 맞죠?^^ 소유격이란 무엇인가?1. 소유하는 사람(소유자)를 나타냅니다. Jane's pencil = 제인의 펜(펜의 소유자는 Jane임을 나타냅니다.) / the old man's h..

2014. 1. 19. 23:54
영문법

[영문법_명사(21)]통성명사와 중성명사

명사를 학생들과 함께 공부하는 시간이면 얼굴이 화끈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몇번이고 되뇌이고 외웠건만 까먹고, 잊어버리고 가슴을 답답하게 만드는 수많은 영어의 명사와는 영원히 친해질 수 없는 것일까? 고민을 하는 현재의 영어강사인 나 자신도 영어를 공부하는 현재의 학생들도 영어의 명사만 접하면 한없이 작아지는 느낌을 차마 떨쳐 버릴 수가 없습니다. 지독한 패배주의와 자포자기의 어두운 굴레속에 자신을 가두어 버리고 초점이 흐려진 운동자를 5분정도를 버텨주면 그저 고맙기만 하는 입시 영어학원의 비참한 현실속에 재미없는 영어문법의 그 재미없다는 "명사"를 공부하게 되어서 대단히 죄송하지만 세상은 생각하기 나름입니다. 생각을 바꾸면 삶이 바뀌지만 그 단순한 진리를 학생들은 잘 모르고 여전히 무거운 눈꺼플(an ..

2014. 1. 16. 00:18
영문법

[영문법_명사(16)]항상 복수형으로 쓰는 명사_상시복수,절대복수

영어의 명사 중에는 항상 복수형으로만 써야 하는 명사가 있습니다. 이것을 '상시복수 또는 절대복수' 라고 하는데 형태는 복수형이지만 단수취급하는 경우와 복수취급 하는 경우가 있어서 사실 많이 헷갈려합니다. 영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품사라고 할 수 있는 명사는 쉬워 보이지만 사실 파고 들어갈 수록 어려운 파트라는 것을 새삼 느끼곤 합니다. ● 복수형으로만 쓰이는 명사의 종류 ● 학문의 이름 학문의 이름은 보통 복수형으로 쓰는데 일반적으로 단수취급을 합니다. 하지만 문맥에 따라서 복수형으로도 취급을 한다는 점을 염두에 두셔야합니다. statistics와 같이 '통계학'이라는 뜻과 '통계자료'라는 뜻으로 각각 문맥에 쓰이게 되면 단수와 복수로서 취급을 해야합니다. 대부분의 학문명들이 모두 그렇게 쓰일 수 있..

2013. 11. 1. 13:30
영문법

[영문법_명사(15)]명사의 복수형, 불규칙변화와 발음법

명사의 복수형은 불규칙변화를 알게되면 정말 쉽게 볼 상대가 아님을 깨닫게 됩니다. 더우기 어미가 희한하게 변하고 발음까지도 변하는 것을 일일이 암기하려면 머리가 정말 아프게 됩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여기서 포기해서는 안되겠지요? 앞으로 이중복수, 상시복수, 복합명사의 복수형까지 줄줄이 기다리고 있으니 미리부터 겁먹을 필요는 없습니다. 사실 별거 아닙니다. 걍, 차근차근 외워두시면 되니까 절대 포기라는 말씀은 거두워 주옵소서!!● 명사의 복수형, 불규칙 변화와 발음법 ● 모음만 변하는 명사의 복수형모음만 변하는 명사형의 복수형은 어려운 것이 아니라 쉽게 잊어버려서 어렵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영어의 다른 파트를 공부하다보면 늘 까맣게 잊고 있다가 뒷통수를 얻어맞는 그런 류(類)의 명사의 불규칙변화 입니다. ..

2013. 10. 29. 13:44
영어참고서

안현필 실력기초, 나의 영어 인생을 바꾸어 준 책

이제서야 안현필 선생님의 영어 실력기초에 대해서 감히 글을 쓰게 되네요. 선생님의 책은 내 영어공부 인생에 새로운 눈을 뜨게 해준 책입니다. 혹자는 「맨투맨 기본영어」, 또 다른 사람은 「성문영어」가 영어의 눈을 뜨게 해 준 책이라고 자신있게 말하는데 저에게는 당시에 그렇게 잘 알려지지 않은 책인 도서출판 대영당에서 출판한 「영어 실력기초」였습니다. 사람마다 영어를 공부하다 보면 영어공부의 눈이 환하게 떠지는 책이 있습니다. 다시말해서 영어의 개관이 모두 보이기 시작한 때인데, 무지막지하고 개념없이 공부하던 저에게 영어공부의 방법을 가르쳐주고 흐트러진 내 영어지식의 단편들을 한 데 모아준 소중한 책이었습니다. 안현필 선생님이 실력기초는 지금에서는 서점의 한 구석에 먼지가 쌓여서 꽂혀 있거나, 인터넷 서점..

2013. 10. 5. 13:04
영문법

[영문법_대명사(14)]지시대명사 this와 that의 용법과 활용

지시대명사 that와 this는 가장 흔히 보는 말이지만 실제로 문법 문제로 파고 들어가면 쉽게 볼 말이 아니라는 것을 금방 알게 됩니다. '이것, 저것'으로만 알고 있었던 this와 that가 이렇게 쓰임이 많다는 것을 깨달은 학습자는 그 만큼 영어의 문법을 깊이 있게 공부하고 있다는 반증이 되고도 남습니다. 분명한 것은 대명사의 기본 개념에 충실하다보면 지시대명사로 쓰인 this와 that의 파악에 있어서 별다른 어려움이 없을 것입니다. 결국, 명사를 대신해서 쓰인다는 "대명사"의 개념에 특정한 것을 "지시"하고 있다는 개념이 결합된 것이니까요. ● 추지시대명사 this와 that의 용법과 활용, 차이점은 무엇일까? 지시대명사에는 this(복수는 these)와 that(복수는 those)이외에 suc..

2013. 9. 16. 13:27
영문법

[영문법_대명사(11)]부정대명사 none과 형용사 no

부정대명사 none은 어감 자체가 생소합니다. 그 만큼 잘 쓰는 영어단어인가? 할 정도로 영어 문장을 많이 접하지 않은 학습자들에게는 왠지 낯선 단어입니다. 더구나 none과 no를 명확히 구분하는 것도 보통 문제가 아니죠. 늘 강조하는 것이지만 영어에서 어떤 단어가 나왔을때 완벽하게 이해하고 넘어가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설령 시간이 지나 잊어 먹더라도 완벽히 이해하고 학습한 단어와 그래머 파트는 그나마 다시 기억하여 복습(Review)을 하는데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별거 아니라고 생각지 마시고 늘 그런 습관을 생활화 하면서 영어학습을 하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영어를 잘 하시는 선배님들의 잔소리를 인용했을 뿐이니까 너무 기분나쁘게 생각지는 마시구요.^^●..

2013. 9. 8. 14:44
영문법

[영문법_대명사(7)]부정대명사 all과 all의 다양한 용법

all은 영어공부를 하면서 아마도 가장 많이 접하는 단어가 아닐까 싶습니다. 그만큼 흔하게 접하기 때문에 우리는 그냥 all을 '전부, 모두'라는 뜻 이외의 다른 쓰임에는 별다른 관심을 갖지 않는 것이 사실입니다. all은 크게 (대)명사, 형용사, 부사의 세 가지로 쓰입니다. some, any, no처럼 수와 양의 구분없이 쓰이면서 단수 혹은 복수로 취급하기도 합니다.부정대명사 all의 의미와 다양한 문법적인 쓰임위의 정리는 all이 부정대명사로 쓰일 경우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하였습니다. 부정대명사로 쓰이는 all경우는 위의 이미지를 통해서 개념을 정리하시고 그 밖의 all의 다양한 쓰임은 아래와 같습니다. Usage of "All" ● 부정대명사로 쓰이는 All① 복수 인칭대명사 앞에서는 "of" ..

2013. 9. 1. 14:25
영문법

[영문법_대명사(4)]부정대명사 ONE 구별 법

부정대명사 one은 "한개, 하나"를 나타내는 (기)수사로만 알고 있는 학생들이 많습니다. 수업을 진행하다 보면 "선생님, one이 한개지 왜 사람으로 해석해요?" 하기사 공부를 안했던 저 역시 똑같은 질문을 했었으니까요. 부정대명사 one은 (기)수사외에 도무지 무슨 명사를 대신하는지 아리송한 대명사 역할을 합니다. 그 특별히 정해지지 않은 명사(사람&사물 포함)를 대신하거나 일정하지 않은 수량을 표시할 때 사용하는 대명사를 부정대명사라고 합니다. one, other, another, some, any, both, every, each, either, neither 등이 있습니다. 많죠 부정대명사 one의 의미와 문법적인 역할과 활용법1. 일반인, "사람"을 대신하는 one ● One must not ..

2013. 8. 26. 09:46
영문법

[영문법_대명사(3)]비인칭 주어 it 구별하는 법

비인칭 주어 "It"을 구별하는 문제는 중학교에 처음 입학한 학생들이 가려내기란 쉽지 않습니다. 인칭대명사로 쓰인 It인지 아니면 아무런 뜻이 없는 비인칭 주어로 쓰인 "It"인지 명확한 개념을 모르면 대부분의 학생들이 틀리기 쉽상입니다. 쉽게 범하는 실수 중에 하나가 굳이 비인칭 주어로 쓰인 "It"를 해석해서 난관에 봉착하는 경우를 보았는데 그러면 100% 틀립니다. 비인칭 주어는 아래의 그림처럼 간단하게 정리해두면 다음부터 그런 실수는 없을 것입니다.비인칭 주어 it와 지시대명사로 쓰인 it과의 구별하는 방법 위의 문제의 정답은 ① 입니다. 문제에 나온 비인칭 주어 It가 거리를 나타내는 의미로 쓰였습니다. '여기에서 역까지 얼마나 멀지?'라는 의미의 비인칭 주어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는 ①의 '..

2013. 8. 24. 14:46
영문법

[영문법_대명사(1)]인칭대명사의 종류와 쓰임

영어의 대명사 중에서 인칭(人稱)대명사는 영문법의 기초 중에서 가장 기초적인 파트로서 경시하는 경향이 짙다. 하지만 영어를 공부하면 할 수록 인칭대명사가 그리 쉬운 영어 문법의 파트가 아님을 알게됩니다. 그 이유가 뭘까요? 대한민국 영어 문법을 지도하는 스타일의 오류라고나 할까요? 인칭대명사를 대충 외우고 넘어가는 공부를 여태까지 해왔기 때문에 고등학교와 그 이상의 영문법 파트에서 인칭대명사 문제가 나오면 대부분 당황하거나 어려워하는 경우가 많은것 같습니다. 인칭대명사는 인칭의 구별도 중요하지만 격(格)에 맞는 사용을 올바르게 하느냐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중학교 학생들을 지도하다 보면 인칭대명사를 격(格)에 맞게 사용하지 못하는 것을 관찰하였고, 고등학생의 경우는 인칭대명사가 무엇을 지칭하는지 ..

2013. 8. 12. 10:55
영문법

[영문법-명사]주어자리에 오는 명사상당어구

명사와 명사 상당어구는 문장성분 중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의 자리에 올 수 있는 말입니다. 명사는 문장성분이 아니라 품사에 속하지만 학생들은 문장성분과 품사를 자주 혼동하곤 하죠. 그래서 주어자리에 명사나 명사 상당어구가 아닌 품사들을 분별없이 넣는 오류를 많이 범합니다. 주어는 문장 성분입니다. 따라서 주어의 재료는 명사이기 때문에 명사나 명사 상당어구가 주어의 자리에 위치하는 것이 영어 문법상 올바른 구조가 되는 것이죠. 명사나 명사 상당어구가 주어자리에 올 때 주의할 점은 무엇일까요? 네, 맞습니다. 지난번 수업시간에도 말했지만 항상 주어자리에 어떤 말이 왔는지 확인한 후 "복수인지? 아니면 단수인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주어의 인칭과 수에 따라서 동사가 결정된다는 것은 다 아실 겁니다. 특히,..

2013. 7. 17. 11:02
Q&A

[영어 Q&A(14)_동명사]동명사를 목적어로 갖는 동사 쉽게 외우는 법

타동사 중에는 동명사만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가 있는가 하면, to-부정사만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도 있습니다. 또한 동명사와 to부정사를 모두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도 있습니다만 외우기가 아주 골치 아프죠. 외워 놓은 것 같으면 또 까먹고, 그래서 또 동명사만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를 또 외우고 그러셨을 겁니다. 아무튼 그렇게 했으니 이 만큼이나 외운것 아니겠습니까? "쓰담쓰담!" :) 동명사만을 목적어로 갖는 동사 위의 이미지를 보면 크게 3개의 파트로 분류가 됩니다. 「중지하다」「피하다」「연기하다, 미루다」의 뜻을 가진 동사들은 동명사를 목적어 자리에 놓게 됩니다. 그러니까 to부정사나 원형부정사는 올 수 없다는 이야기죠. 1. 주어 + 동사("중지하다") + ~ing(O=동명사만) He has just ..

2013. 7. 12. 02:22
영문법

[영문법-문장의종류]의문문의 해부도

중학교 신입생들이 가장 많이 틀리는 영어 문장의 종류는 무엇일까요? 네, 의문문입니다. 주어로 시작하는 우리말의 어순과 많이 틀리기 때문에 어색한 느낌이 많이 납니다. 영어의 의문문은 동사가 먼저 나오니까 아무래도 익숙치 않습니다. 그래서 많이들 실수를 하고 주관식 문제에서 온전한 점수를 얻기가 힘듭니다. Tip#1!! 두가지만 기억하면 의문문 완전정복!! ☆ Be동사로 시작하는 의문문은 주어 다음에 반드시 형용사나 명사가 온다. 왜? '주격보어'로 쓰이니깐... Is Jason very handsome? [Be동사의 보어로 형용사가 쓰임]Are you a new English teacher? [Be동사의 보어로 명사가 쓰임] ☆ 일반동사로 시작하는 의문문은 일반동사의 원형으로 시작하지 않는다. Like..

2013. 6. 5. 11:04
영문법

[영문법-관사]정해지지 않은 명사 앞에 부정관사 a(n)

부정관사, 참 어려운 영문법 파트죠. 잘 빼먹고, "써야되나? 안써야 되나?" 수차례 고민하다가 결국 시험에 나오면 틀리게 되는 영문법계(英文法界)의 시어머니와 같은 얄미운 존재입니다. 그 뿐인가? 정관사 the와 왜 이렇게 헛갈리는지 도무지 알 수 없는 관사의 양대 산맥을 이루고 있는 요소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고민은 이제 그만. 해결책은 간단하죠. 개념이 정확하지 않아서 사용에 있어서 혼란스러울 뿐 입니다. 자, 그럼 정관사와 부정관사는 어떻게 구분하는 지 볼까요? Tip! 부정관사 a(n)과 정관사(the)의 구분I bought a pen yesterday. But I lost the pen this morning. ※ a : 정해지지 않은 여러 pen중에 하나죠. 그래서 부정(정해지지 않음)관사 ..

2013. 6. 3. 08:00
영문법

[영문법-문장의종류(1)]평서문의 해부도

"뭐가 그리 어려워?" 초딩 때를 벗자마자 중학교에 입학한 학생들이 내 뱉는 일반적인 멘트입니다. 중학교에 입학하면 제일 어려운 것이 영어도 어려운데 한자어가 많이 나온다는 점이죠. 대한민국의 학문구조상 유식하다고 뻣뻣하게 목을 세우는 양반들은 하나같이 한자어를 사랑합니다. 사실 꼴볼견이죠? 하지만 나름대로 의미가 있으니 너무 욕할 필요는 없습니다. 한자어를 자세히 공부해 보면 한글로 알기 어려운 뜻을 쉽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자어가 뜻글자이기 때문이죠. | 평서문(平敍文: a declarative sentence) 명사를 공부했으니 이제 문장(文章)을 함께 공부했으면 합니다. 혹여 제 블로그를 보시는 어머니 독자분들이 계신다면 앞 부분의 내용을 간단히 읽으신 후 공부하시면 효과가 좋을 것입니..

2013. 5. 29. 11:32
  • «
  • 1
  • 2
  • »

공지사항

  • 고1 수능 모의고사 문제집 및 정답지 다운로드
  • Sitemap

전체 카테고리

  • 이 블로그에 게시된 글 수 (508)
    • 영문법 (172)
    • 영어성경공부 (13)
      • 창세기(Genesis) (10)
      • 잠언(Proverbs) (3)
    • VOCA (71)
      • 중등 (35)
      • 고등 (9)
      • 토익 (3)
      • 숙어 (8)
    • 독해자료 (16)
    • 회화 (10)
    • 연습문제 (11)
      • 문법연습 (6)
      • 수능연습 (5)
    • 기출문제분석 (32)
    • 영어성적올리기 (9)
    • 영어참고서 (53)
    • 영어로 글 써보기 (44)
      • 영어로 쓰는 에세이 (33)
      • 영어로 쓰는 여행기 (11)
    • 블로그 운영 팁스(Tips) (15)
    • Q&A (62)
  • 최근 글
  • 최근 댓글

최근 글

최근댓글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영/어/공/부/와/스/토/리1/9/7/0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