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공/부/와/스/토/리1/9/7/0
  • 홈
  • 사이트맵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이 블로그에 게시된 글 수 (508)
      • 영문법 (172)
      • 영어성경공부 (13)
        • 창세기(Genesis) (10)
        • 잠언(Proverbs) (3)
      • VOCA (71)
        • 중등 (35)
        • 고등 (9)
        • 토익 (3)
        • 숙어 (8)
      • 독해자료 (16)
      • 회화 (10)
      • 연습문제 (11)
        • 문법연습 (6)
        • 수능연습 (5)
      • 기출문제분석 (32)
      • 영어성적올리기 (9)
      • 영어참고서 (53)
      • 영어로 글 써보기 (44)
        • 영어로 쓰는 에세이 (33)
        • 영어로 쓰는 여행기 (11)
      • 블로그 운영 팁스(Tips) (15)
      • Q&A (62)
영문법

[영문법_부사(6)]관계부사의 활용과 문제

「접속사+부사」의 역할을 하는 관계부사(Relative Adverb) 선행사가 장소일 경우 This is the place. + He was born there. 두 문장을 하나의 문장으로 표현해 볼까요? 위의 문장에서 the place는 there(거기에서)라는 부사를 말합니다. 다시 말하면 in it. 「그 곳에서」태어났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럼 선행사를 무엇으로 할까요? 맞습니다. 장소를 나타내는 the place를 선행사로 하고 두 문장을 연결해 줄 접속사가 필요하죠. 그런데 부사 there가 겹치네요. 즉, the place의 뜻이죠. 따라서 접속사와 부사의 역할을 해야 하므로 "관계부사"가 적합합니다. This is the place. + He was born there. = This is..

2014. 7. 2. 14:14
영문법

[영문법_부사(4)]관계부사의 뜻과 종류

관계부사가 뭐에요?관계부사란 관계대명사처럼 선행사를 가지며 접속사와 부사의 역할을 합니다. 다시말하면 두 문장을 이어주는 접속사의 구실과 부사(어)의 역할을 모두 대신할 수 있는 말이라고 생각하면 되겠지요. 관계대명사가 접속사와 문장의 주요성분인 주어, 목적어, 소유격 대명사의 역할을 하는 것 처럼 말입니다. 아래의 문장을 통해서 볼까요? This is the house. + He was born in the house. This is the house which he was born in (the house). [in이 전치사 이므로 which는 목적격 관계대명사→which다음에 불완전한 문. in의 목적어가 빠짐.]This is the house in which he was born. ['전치사+관계..

2014. 6. 19. 15:07
영문법

[영문법_부사(3)]방법부사의 위치

부사의 위치를 제대로 놓는 일이란 생각만큼 쉽지 않습니다. 서술형 문제의 경우 학생들이 아무데나 부사를 놓아서 부분점수를 감정당하는 일이 상당히 많거든요. 그렇다고 그 많은 부사를 다 외워서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도 없는 일이고 말입니다. 하지만, 기본적인 원칙이 있으니 그 정도만 유의해서 영어의 문장을 작성해 준다면 서술형 문제의 경우도 90%이상은 해결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부사중에서 방법부사의 위치에 대해서 함께 공부해 보겠습니다. 방법부사란?방법부사는 의문사 "How~?"의 답변으로 쓰이는 부사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서 무슨 말을 하는데 '솔직하게'라는 부사를 쓰겠죠? 어떻게 말한다구요... 예, 맞습니다. 말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데 있어서 솔직하게(honestly)하게 말한다는 것입니다..

2014. 6. 11. 14:00
영문법

[영문법_부사(2)]까다로운 부사의 위치

부사의 위치에 대한 개요우선 부사는 수식하는 말 앞에 온다고 생각하면 별 무리가 없죠. 그리고, 문장 전체를 수식해주는 '문수식부사'의 경우는 문장의 앞이나 뒤에 ,(콤마)로 구분해서 위치시키면 크게 문제될 것은 없지만 가끔씩 까다로운 부사들이 나옵니다. 하지만, 문장을 화려하게 해주는 수식어이므로 기본적인 부사의 위치만 잘 알고 있다면 영어문장의 완성에 대한 부담감은 많이 줄어들 것입니다. 그렇죠?^^ 형용사의 앞 : My brother is well educated. [ educated앞에 부사 well이 형용사를 수식해 줌] 부사의 앞 : He can run very fast. [ 부사(구, 절)을 수식할 때 부사 앞에 씁니다.]대부문 문장의 앞·뒤, 동사의 앞 He naturally won the..

2014. 5. 28. 14:25
영문법

[영문법_부사(1)]부사의 의미와 기능

부사(副詞)는 영어문장을 쓰는데 있어서 문장의 맛과 멋을 더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한자어로 '부사'란, 「다른 품사의 뜻을 도와주는 말」로 생각하시면 좀 이해가 쉬울 겁니다. 따라서, 형용사처럼 주요문장 성분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고 단순히 수식어(구; modifier)로서의 품사적 기능을 합니다. 부사가 주어, 보어(일부 be동사의 보어 역할을 하기도 함), 목적어로서의 기능을 하는 거 보셨나요? 그럼 영어의 부사가 같은 수식어로서의 형용사와의 차이점은 무엇이며 문장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 지 알아보겠습니다. 부사와 형용사의 주요 특징 형용사(Adjective) 문장에서의 역할과 기능 부사(Adverbs) 명사 수식 수식하는 기능 동사·형용사·다른부사·문장 전체 수식 불완전 자동사의 보어 역할 보..

2014. 5. 27. 16:18
Q&A

[영어 Q&A(46)_영어문법_부사의위치(4)]전치사적 부사,「타동사+목적어+(전치사적)부사」의 순서

2어동사의 문제는 중학교에 들어가면 출제가 가끔씩 되는 문제죠? on, off, over, up등의 전치사가 부사로 쓰인 것인지 전치사로 쓰인 것인지 몰라서 학생들 질문이 많습니다. 몇 번을 강조해도 자주 틀리는 2어동사. 「타동사+부사」의 구조를 이해하지 못하고 타동사의 위치를 어디에 두어야 하는지 갈등에 갈등을 거듭한 결과 2.5점짜리 객관식 문제 그냥 앉은 자리에서 날려버리는 안타까운 경우를 많이 보았습니다. 특히 타동사의 목적어가 대명사일 경우에는 타동사와 부사의 가운데에 둔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하겠지요. 「타동사+목적어+부사」, 「타동사+부사+목적어」로서 타동사구를 만들어서 전치사처럼 생겼을 뿐이지 실제로는 타동사뒤에 놓는 부사입니다. 타동사 다음에는 목적어가 와야지 타동사 다음에 전치사가 온..

2014. 1. 28. 04:06
Q&A

[영어 Q&A(45)_영어문법_부사의위치(3)]문장전체를 수식하는 독립부사의 위치는 어디에요?

문장전체를 수식하는 독립부사의 위치는 어디에 놓는 것이 좋을까요? 부사를 함께 공부하다보면 심심치 않게 튀어나오는 질문입니다. 센스있는 학생은 금새 눈치를 챘을 것이지만 개념 자체를 모르는 학생은 "멘붕상태"가 올 수 밖에 없습니다. 영어를 싫어하는 학생들의 대부분이 "그 까짓 위치가 뭐 중요하다고, 으이 짜증나!"라는 표현과 함께 책을 덮어버리기 때문에 영어는 갈 수록 어려운 과목으로 전락하는 이유가 됩니다. 모르면 깨 부수어서 내것으로 만들려는 의지가 중요한거 아닌가요? 그게 싫다면 일찌감치 볼펜 던지고 다른 공부하시는게 도움이 될 듯 싶네요. 독립부사는 콤마(,)로 독립하여 문장 전체를 수식하여 주는 부사를 말합니다. 이러한 독립부사는 동사나 형용사를 수식하는 수식부사(또는 부가사)와는 구별되어서 ..

2014. 1. 25. 18:00
Q&A

[영어 Q&A(44)_영어문법_부사의위치(2)]한 문장안에 조동사가 여러개 있는 경우 부사의 위치?

영어 문장에 동사가 하나만 딸랑 나오려면 좋으련만 가뜩이나 독해가 막혀서 등줄기에 식은땀이 나서 죽겄는디 도대체 부사는 어디에 두어야 이게 정확한 주관식 답을 쓸 수 있을지 눈앞에 캄캄하시죠? 저도 그런 경험 여태하고 있습니다. 남의 나라 말 배우기가 쉽다면 이 세상에 언어를 흐트려 놓으신 신의 노력이 물거품이 되는 기적이 일어나겠지요. 아마도 언어가 하나로 통일된다면 높으신 분께 도전하려는 바벨탑을 또 한번 지으려하지 않을까요? 실패한다면 더 큰 재앙이 우리를 기대리고 있을지도 모르죠. ^^ 문장에서 동사가 여러개 나온다는 것은 본동사를 제외한 나머지 동사는 조동사라는 결론이 나오겠지요. 본동사가 주어의 행동의 주인공이고 주어의 행동을 정확하게 표현해주는 말이기 때문에 본동사 (main verb)를 제..

2014. 1. 24. 00:22
Q&A

[영어 Q&A(43)_영어문법_부사의위치(1)]제멋대로 부사 도대체 어디에 두어야 하나요?

지난번에 부사 better가 중간고사에 출제되어 많은 학생들이 어디에 두어야 할 지 몰라서 틀렸던 경우가 있었습니다. 거기에 관련에서 방법부사의 위치에 대하여 정리해 놓았던 포스팅 내용을 기억하시는지 모르겠네요. 요즘 겨울방학 특강으로 형용사와 부사에 대해서 함께 공부하고 있습니다만 특히, 부사의 위치에 대해서 어려워하는 학생들이 많더군요. 마침 수강생 중에서 조OO군이 질문하더군요. 선생님, 공부하다 보니까요 부사가 일반동사 앞에 오기도하고, 뒤에 오기도 하고...어느땐 맨뒤에 오기도 하고 맨 앞에 오기도 하고 도대체 어디다 두어야 맞는거에요? 사실 부사의 정확한 위치를 선별하여 문법에 맞도록 집어 넣기에는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부사의 위치만 해도 공부할 분량이 많고, 정확한 개념을 이해하더라도 매..

2014. 1. 23. 22:30
VOCA

still,already,yet 은 언제 어떻게 써요?

still, already, yet은 많이 쓰이는 부사인데 사용하다 보면 언제 어떻게 사용하는지 자주 잊는 부사들입니다. 더군다나 머릿속에 확실한 개념을 정리해 두지 않으면 늘 헛갈리기 마련입니다. 학생들에게 still, already, yet 사용법에 대해 자주 질문을 받는데 사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위에서 정리한 개념은 머릿속에 정확하게 정리해 두어야 합니다. 특히 still의 경우 다양한 의미로 영어문장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학생들을 곤란하게 만드는 단어입니다. 원인은 맨날 틀리면서도 정리하지 않고 그냥 넘어간 이유가 되겠지요. 먼저 still의 사용부터 예문을 통해서 알아보겠습니다. ●still 1. 형용사로 쓰이는 still Still water runs deep. / 잔잔한 물이 깊게 흐른다...

2013. 7. 16. 10:19
  • «
  • 1
  • »

공지사항

  • 고1 수능 모의고사 문제집 및 정답지 다운로드
  • Sitemap

전체 카테고리

  • 이 블로그에 게시된 글 수 508
    • 영문법 172
    • 영어성경공부 13
      • 창세기(Genesis) 10
      • 잠언(Proverbs) 3
    • VOCA 71
      • 중등 35
      • 고등 9
      • 토익 3
      • 숙어 8
    • 독해자료 16
    • 회화 10
    • 연습문제 11
      • 문법연습 6
      • 수능연습 5
    • 기출문제분석 32
    • 영어성적올리기 9
    • 영어참고서 53
    • 영어로 글 써보기 44
      • 영어로 쓰는 에세이 33
      • 영어로 쓰는 여행기 11
    • 블로그 운영 팁스(Tips) 15
    • Q&A 62
  • 최근 글
  • 최근 댓글

최근 글

최근댓글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영/어/공/부/와/스/토/리1/9/7/0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