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공/부/와/스/토/리1/9/7/0
  • 홈
  • 사이트맵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이 블로그에 게시된 글 수 (508)
      • 영문법 (172)
      • 영어성경공부 (13)
        • 창세기(Genesis) (10)
        • 잠언(Proverbs) (3)
      • VOCA (71)
        • 중등 (35)
        • 고등 (9)
        • 토익 (3)
        • 숙어 (8)
      • 독해자료 (16)
      • 회화 (10)
      • 연습문제 (11)
        • 문법연습 (6)
        • 수능연습 (5)
      • 기출문제분석 (32)
      • 영어성적올리기 (9)
      • 영어참고서 (53)
      • 영어로 글 써보기 (44)
        • 영어로 쓰는 에세이 (33)
        • 영어로 쓰는 여행기 (11)
      • 블로그 운영 팁스(Tips) (15)
      • Q&A (62)
영문법

[영문법_동사(2)]1형식 완전자동사의 종류와 쓰임

어려운 문법 용어부터 잡아라! 영어의 문법은 얼핏 들어보면 상당히 복잡하고 짜증이 날법하다. 1형식은 뭐고, 완전자동사는 또 뭔지? 그 놈의 용어 외우다가 영어문법의 몸통을 보기도 전에 포기해 버리는 경우가 너무 많습니다. 그럼, 뭐 맨날 초등학교의 어휘 수준으로 평생을 살아가시렵니까? 그것도 말이 안되는 논리입니다. 도전이 없으면 발전도 없는 것이죠. 특히 「동사」파트에는 어려운 용어가 많이 나와서 영어 학습자들이 지레 겁먹고 포기하는 모습을 많이 보았습니다. 그럼 「동사파트」에서 많이 쓰이는 용어를 정리해 볼까요? 자동사(自動詞) : 동사의 행위의 대상인 목적어를 갖지 않는 동사 - 완전자동사 : 보어가 필요하지 않은 동사(1형식) - 불완전자동사 : 보어가 필요한 동사(2형식) 타동사(他動詞) : ..

2014. 7. 14. 13:50
영문법

[영문법_부사(6)]관계부사의 활용과 문제

「접속사+부사」의 역할을 하는 관계부사(Relative Adverb) 선행사가 장소일 경우 This is the place. + He was born there. 두 문장을 하나의 문장으로 표현해 볼까요? 위의 문장에서 the place는 there(거기에서)라는 부사를 말합니다. 다시 말하면 in it. 「그 곳에서」태어났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럼 선행사를 무엇으로 할까요? 맞습니다. 장소를 나타내는 the place를 선행사로 하고 두 문장을 연결해 줄 접속사가 필요하죠. 그런데 부사 there가 겹치네요. 즉, the place의 뜻이죠. 따라서 접속사와 부사의 역할을 해야 하므로 "관계부사"가 적합합니다. This is the place. + He was born there. = This is..

2014. 7. 2. 14:14
기출문제분석

영어 기말고사, 수동태 만드는 법 쉬운거 없어요?

수동태 만드는 비법? 「문장 하나만 외워서 때린곳만 집중적으로 패면 된다.」여러 문장 외울 필요 없이 단순하고 간단한 문장으로 머릿속에 수동태의 패턴을 도장처럼 새겨 넣으면 되겠지요? 차라리 도장을 콱 찍어놓으면 좋을텐데 말이죠. 수동태 만드는 비법 도장. 그렇다면 오른쪽 그림과 같이 찍어 놓으세요. 하도 들으셔서 귀에 못이 다 박히셨을 겁니다. 「be+p.p...by+행위자」매일 들어도 도무지 뭔 소리인지 몰라서 문제가 나올 때마다 틀리는 불쌍한 영어 학우들이여! 도대체 이유가 뭘까? 문장구조 공부부터 다시 하시길 간절히 바라옵니다. 동사의 태도를 나타내는 태(態)에는 주어가 직접 능동적으로 행동하는 "능동태"와 싫은 일을 억지로 당하게 되는 "수동태"가 있습니다. 현재 여러분들은 공부가 하기 싫은데 ..

2013. 11. 16. 03:25
영문법

[영문법_명사(18)]명사의 복수형어미가 생략되는 경우

명사의 복수형어미는 복수를 나타내는 수사가 앞에 온다고 해서 반드시 -s를 붙이는 것은 아닙니다. 사실 복수형을 써야 하는지 아닌지 고민이 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원칙을 모르게 되면 실수를 많이 합니다. 2014년 수능 영어에서도 보듯이 문법에 대한 자세한 이해가 기본적인 실력으로 자리잡고 있지 않으면 난해한 예문들을 이해하기란 쉽지 않다는 것을 느꼈을 것입니다.● 명사의 복수형 어미 ● 수사와 함께 쓰이는 단위명사는 복수형 어미를 붙이지 않는다단위명사가 형용사처럼 명사를 수식할 때는 명사형 어미인 -s를 붙이지 않습니다. 자체의 명사의 의미를 강조하기 보다는 뒤의 명사를 수식해 주는 입장이기 때문에 복수형 어미를 붙인다는 것은 의미가 없는 것이죠. She is three years old. 그녀는 세..

2013. 11. 9. 21:33
영문법

[영문법_명사(16)]항상 복수형으로 쓰는 명사_상시복수,절대복수

영어의 명사 중에는 항상 복수형으로만 써야 하는 명사가 있습니다. 이것을 '상시복수 또는 절대복수' 라고 하는데 형태는 복수형이지만 단수취급하는 경우와 복수취급 하는 경우가 있어서 사실 많이 헷갈려합니다. 영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품사라고 할 수 있는 명사는 쉬워 보이지만 사실 파고 들어갈 수록 어려운 파트라는 것을 새삼 느끼곤 합니다. ● 복수형으로만 쓰이는 명사의 종류 ● 학문의 이름 학문의 이름은 보통 복수형으로 쓰는데 일반적으로 단수취급을 합니다. 하지만 문맥에 따라서 복수형으로도 취급을 한다는 점을 염두에 두셔야합니다. statistics와 같이 '통계학'이라는 뜻과 '통계자료'라는 뜻으로 각각 문맥에 쓰이게 되면 단수와 복수로서 취급을 해야합니다. 대부분의 학문명들이 모두 그렇게 쓰일 수 있..

2013. 11. 1. 13:30
영문법

[영문법_관사(1)]관사(article)? 정해지면 정관사, 정해진것이 아니면 부정관사

관사(冠詞)는 한자어로 "갓을 씌운 말"입니다. 명사(Noun)라는 완전한 형상의 머리위에 옛날 어르신 들이 쓰던 갓을 얹었다는 의미이죠. 그도 그럴것이 영어에서 명사가 어디 한 두개입니까? 수없이 많은 영어의 명사를 하나하나 지시를 해 주기도 해야하면, 그렇게 넓은 범위의 명사를 한정시켜 줄 필요가 있지요. 그래서 쓰는 것이 바로 관사(冠詞 ; Article)입니다. 문제는 별거 아니라고 생각했던 이 관사(冠詞 ; Article)가 문제화되어서 나오면 지극히 난해하고 정답을 찾기에 곤란한 상황(situation)에 도달해 멘탈(mental)이 붕괴(collapse)되는 현상(phenomenon)까지 오게 됩니다. Right? ● 부정관사(an indefinite article) ⇒ "여러 명사 중에 특..

2013. 10. 24. 09:08
Q&A

[영어 Q&A(35)_영어문법]형용사와 비교급 만들 때 헛갈리는 단어 좀 정리해 주세요?

형용사와 부사의 비교급과 최상급. 사실 쉽지 않은 문법 파트입니다. 그리고 왜 이렇게 헛갈리는 형용사와 부사는 또 그리 많은지 정말 뒷골이 지끈지끈 아프기 일쑤입니다. 별거 아닌 부분이니까 신경 안쓰고 있다가 역습(counterattack)에 완존히 당하는 격이죠. 그러니까 항상 말씀을 드렸듯이 "기본기에 충실하자!" 입니다. 비교급과 최상급을 만드는 방법을 명확하게 익혀둔다면 두번 다시 헛갈리거나, 혼동할 염려가 없으니까요. 일단 기본은 이렇습니다. 일단은 위의 두 문제에 대한 풀이부터 진행을 해야 겠지요? 하하... 요놈의 pretty가 아주 사람 요상하게 헛갈리도록 만들곤 합니다. '아차!'하는 순간에 실수로 걍, OMR카드에 똥글뱅이를 쳐놓고 혼자만 정답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요. 또한, pr..

2013. 10. 19. 03:39
영문법

[영문법_명사(13)] have+the+추상명사+to부정사

「have+the+추상명사+to부정사」독해문제에 나오면 갑자기 멍해지면서 '멘탈붕괴'의 상황에 오는 학생들이 많습니다. 도대체 이 눔의 추상명사는 몇 가지로 쓰이는 건지 야속하기만 합니다. 머릿속이 "띠~잉"하시죠? 거기에다가 왜 시대에 뒤떨어진 같은 의미의 문장을 찾아내라는 불가능한 미션까지 주는지 시험지를 박박 찢어버리고 싶은 충동까지 생깁니다. 그쵸? 「have+the+추상명사+to부정사」은 "매우~해서 …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추상명사의 용법, "have+the+추상명사+to부정사" ●「have+the+추상명사+to부정사」을 이용한 문장전환이왕, '멘탈붕괴'가 되었으니 몇 가지 예문을 통해서 「have+the+추상명사+to부정사」 구문을 완전 마스터 해야 겠지요? "그는 운이 좋겠도..

2013. 10. 18. 11:49
영문법

[영문법_명사(12)]추상명사의 용법(3)_추상명사+itself = all + 추상명사

추상명사(Abstract Noun)은 참 쓰이는 곳도 많습니다. 이번에는 완전히 형용사처럼 "매우 ~한"의 뜻을 같는 용법이네요. 반복해서 말씀드리지만 저도 마찬가지고 영어는 외울것이 너무 많다는 이유로 쉽게 지치고 포기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저는 제가 강의하는 학생들에게 말합니다. "영어를 잘하는 방법은 없다. 누가 한번 더 보고, 한번 더 읽고, 한번 더 써 보고, 한번 더 말해보고, 한번 더 들어보느냐의 차이다." 비록 속도감은 떨어질 지라도 꾸준하게 학습하는 것이 영어공부의 왕도라는 이야기죠. 아무튼 추상명사(Abstract Noun)는 여러 용도로 쓰이는 경우가 많으니까 특별히 관심을 가지고 연습을 충분히 하지 않으면 돌아서자 마자 잊어버리는 대표적인 케이스죠. 이렇게 공부를 해 놓..

2013. 10. 16. 09:42
영문법

[영문법_명사(11)]추상명사의 용법(2)_전치사+추상명사=부사

추상명사(Abstract Noun)는 앞에서도 말했지만 관념적인 말이죠. 그래서 관념속에는 성질이나 특성이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명사의 성질이나 상태를 「of + 추상명사」의 형태로 형용사처럼 쓰이고, 전치사를 앞에 두어서 부사처럼 쓰여서 동사나 형용사, 다른 부사를 꾸며주는 역할도 할 수 있습니다. 추상명사가 부사처럼 쓰이는 이유는 추상명사가 동사나 형용사에서 온 것이 많기 때문인데요 그런 추상명사를 한 번 정리해 보았습니다. Abstract Noun ● 동사에서 온 경우try→trial, compose → composition, develop → development etc. ● 형용사에서 온 경우responsible → responsibility, noble → nobility, miserable ..

2013. 10. 14. 17:25
영문법

[영문법_명사(10)]추상명사의 용법(1)_of+추상명사=형용사

추상명사(Abstract Noun)은 사람이 만들어낸 추상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문맥에 따라서 형용사 구실을 하며 명사를 꾸며줍니다. 그럴때는 「of + 추상명사」의 형태를 취하며 앞의 명사를 꾸며줍니다. 물론 'of + 추상명사'는 형용사로 바꾸어 쓸 수 있는 것이구요. 그래서 공식처럼 정리해 두면 『of + 추상명사 = 형용사』로 기억해 두시면 됩니다. 수학 공식을 자주 잊어버리듯이 영어를 수학 공식처럼 만들어 놓으면 자주 잊어버리더군요. 저 역시 똑 같습니다. 그러니까 반복해서 나올 때 마다 외워두고 용법을 잘 익혀두는 수 밖에 별다른 도리가 없겠지요? ^^ ● 추상명사의 용법, "of+추상명사=형용사"● 추상명사(抽象名詞)의 변화 「추(抽)-뺄 추, 상(象)-모양 상」; '추상'이라는 개념이 이상적..

2013. 10. 14. 14:41
영문법

[영문법_명사(9)]추상명사의 보통명사화와 집합명사화

추상명사(Abstract Noun)는 지난 시간에 정리했던 것 처럼 무관사, 무 복수형이 원칙이지만 전용이 가능하다는 점을 알아야 겠지요. 명사의 전용(轉用)에 관한 일람표를 참조하시면 쉽게 기억이 될 것입니다. 결국 영어 문맥의 뜻을 누가 잘 이해하고 어울리는 내용이해를 하느냐의 따라서 추상명사(Abstract Noun)의 명확한 의미를 쉽게 찾게 될 것입니다. 아래는 추상명사(Abstract Noun)이 문맥에 따라 보통명사 또는 집합명사로 쓰이는 예를 들어놓은 것입니다. ● 추상명사의 보통명사화와 집합명사화위의 예문에서 보듯이 가령 youth라는 추상명사를 놓고 볼 때 "젊음"이라는 본연의 뜻이 문맥에 따라서 "청년"이라는 보통명사(Common Noun)와 "젊은이"라는 집합명사(Collective..

2013. 10. 13. 12:21
영문법

[영문법_명사(8)]고유명사의 보통명사화의 대표적 예

고유명사의 보통명사화(Common Noun)의 대표적 예를 명확하게 알고 있으면 이것이 고유명사(Proper Noun)로 쓰였는지 보통명사로 쓰였는지 구분하는데 상당히 용이하겠죠. 그런데 이것을 정리해 두지 않으니까 나올 때 마다 틀리고, 후회를 반복하는 것입니다. 원칙적으로 고유명사(Proper Noun)는 이 세상에 하나 밖에 없는 유일한 인명, 지명등의 이름이라 관사도 못 붙이고, 복수형도 없지만 다음의 경우에는 보통명사로 전용이 되어서 보통명사(Common Noun) 처럼 똑같이 쓰입니다. 다만, 의미가 조금 틀려진다는 것을 주의해야 합니다.● 고유명사의 보통명사화조금 헛갈리시죠? 관사가 붙이니까 고유명사와 달라진 뜻을 가지게 된다는 것을 위의 예문을 통해서 알게 될 것입니다. 단, 위의 예문에서..

2013. 10. 13. 00:42
영문법

[영문법_명사(7)]물질명사의 수량표시법 "천둥소리를 어떻게 세요?"

물질명사의 수(數)와 량(量)을 표시한다는 것이 어찌보면 어리석다는 생각이 들긴 합니다. 재료, 기체, 액체 등으로 보이지도 않고 잡히지도 않는것을 어떻게 수량표시를 한다는 것인지. 그런데 한글만 과학적인 것이 아니라 영어도 상당히 고민한 흔적이 보이는 우수한 문자중에 하나임은 틀림없는 것 같습니다. 이 물질명사를 셀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해 냈으니 말입니다. ● 물질명사의 수량 표시 복수일 경우에는 단위명사에 복수형 어미인 -(e)s를 붙이고 물질명사에는 붙이지 않는다.(★) 단수 / 복수 물질명사 의미 a / two... piece / pieces of bread toast 빵 한 조각 / 빵 두 조각 토스트 한 조각 / 토스트 두 조각 slice / slices bit / bits a / three...

2013. 10. 12. 23:32
영문법

[영문법_명사(3)]집합명사와 군집명사의 구분 요령

셀 수 있는 명사 중에는 집합명사(集合名詞)가 있습니다. 그런데 집합명사는 군집명사(群集名詞)로 나뉘어서 각각 복수와 단수의 구분법이 틀리지요. 이것이 아주 사람을 환장하게 만듭니다. 솔직히 그게 집합체 한 덩어리를 나타내는지, 그 집합체의 구성원 각자들을 의미하는지 어떻게 정확히 구분하냔 이야기죠. 뭐, 어떻게 하겠습니까? 코가 뽀족한 나라에서 태어나지 않은 이상 그 인간들이 의미하는 문맥상의 의미(意味)를 가지고 돋보기를 들이대는 수 밖에는 별다른 수가 없습니다. 주어를 서술하는 부분이 전첼를 의미하는지 아니면 각자의 심리적 상태나 동작을 의미하는지 명확한 구분이 요구되므로 주의를 해야 합니다. ● 집합명사와 군집명사를 구분하는 방법실제로 미국식 영어에서는 구분없이 그냥 쓰기도 하는데 굳이 문제를 만..

2013. 10. 11. 01:08
영문법

[영문법_명사(2)]보통명사의 세가지 대표적 용법

보통명사는 영어에서 가장 흔한 명사입니다. 그래서 영어로 Common Noun이라고 표현하지요. 그 만큼 흔해빠진 명사인데 우리가 생활하면서 보는 대부분의 이름을 가진 말들은 보통명사라고 보셔도 문제가 없습니다. 주의할 것은 보통명사는 단독으로 쓰이는 일이 없다는 것입니다. 반드시 그 앞에 부정관사 a(an)을 붙여서 함께 쓰입니다. 왜냐면 보통명사 중에서 막연히 chair이라고 하면 이 세상에 chair이 하나 밖에 없는 것은 아니죠. 따라서 여러 chair중에 하나라는 뜻으로 반드시 앞에 부정관사 a를 붙여서 표현하는 것이 맞습니다. 보통명사의 대표적 용법은 「종족의 대표, 보통명사가 전용된 추상명사, '~와 같은'의 의미」로 세가지 입니다.● 보통명사의 세 가지 대표적인 용법 ● 종족대표를 나타내는..

2013. 10. 9. 12:07
영문법

[영문법_명사(1)]명사의 종류(집합,보통,고유,물질,추상)와 용법

명사(名詞)는 이름을 가지고 있는 말입니다. 세상에 이름을 가지고 있는 모든 사람과 사물은 명사(名詞)가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영어에서 가장 많은 명사(名詞)는 보통명사(Common Noun)으로서 단독으로 쓰일 수 없고 항상 부정관사(a, an)와 함께 쓰입니다. 의 종류를 외울 때 "집보러 오세요 우리집에 고물추 있어요."라고 덜덜덜 외우곤 하는데 명사(名詞)의 종류보다는 명사(名詞)가 어떤 명사에 속하는지 그 속성을 분명하게 파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것을 모르면 명사(名詞)의 수(數)의 일치에서 혼동이 올 수 있겠죠? 단수인지 복수인지 모르면 당연히 동사(動詞)를 엉뚱하게 쓸테니까요. 그러니 종류만 외우려고 하지 마시고 명사(名詞)의 속성을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시기 바랍니다. ● 셀 수 있는..

2013. 10. 9. 09:05
영문법

[영문법_대명사(28)]복합관계대명사 whoever, whichever, whatever

복합관계대명사 whoever, whichever, whatever는 문장 속에 나와도 해석이 어렵고, 어법 문제로 출제가 되어도 부담이 되는 문법 파트입니다. 특히, 이것을 명사절(즉, 선행사+관계대명사)로 해석할 것이냐, 아니면 "~할 지라도"의 뜻을 가지는 양보의 부사절로 해석할 것이냐를 놓고 헛갈리는 경우가 다 반사 입니다. 핵심은 복합관계대명사가 이끄는 절을 생략을 했을때 문장이 성립하느냐 성립하지 않느냐의 차이를 분석해 보면 쉽게 구분이 되니까 걱정을 안하셔도 됩니다.● 복합관계대명사, whoever, whichever, whatever의 차이와 사용법● 명사절(주어나 목적어로 쓰임) 역할을 하는 복합 관계대명사복합관계대명사는 「관계대명사+ever」의 형태를 갖으면서 『선행사+관계대명사』역할을 ..

2013. 10. 8. 15:31
영문법

[영문법_대명사(27)]유사관계명사 but, 접속사,전치사의 but

but은 흔히 접속사로 알고 있지요. 등위접속사, 대등한 위치의 말을 이어주는 "등위접속사". 또한, but은 '단지, 오로지(=only)'의 뜻을 가지고 있는 부사로도 쓰이며, '~을 제외하고, ~이외의'의 뜻을 가지는 전치사로도 쓰입니다. 그 뿐인가요? but은 주어가 생략된 불완전한 문장을 이끌며 앞의 선행사를 수식해 주는 관계대명사로도 쓰입니다. 참, 쓰임도 많은 팔방미인이죠.● 유사관계대명사로 쓰이는 but과 접속사, 전치사로 쓰이는 but● 유사 관계대명사 but유사 관계대명사로 쓰이는 but 의 구별하는 방법은 첫째, 선행사 앞에 부정어(not, no)등이 온다는 점이고, 둘째로 but 다음의 동사의 주어 역할을 한다는 점입니다. 관계대명사로 쓰인 but 은 'that~not'의 뜻으로 자체..

2013. 10. 7. 01:37
영문법

[영문법_대명사(20)]관계대명사의 생략, 목적격 관계대명사, 주격 관계대명사+be동사

관계대명사의 생략은 목적격으로 사용될 때 생략을 합니다. 그것을 알기 위해서는 관계대명사가 목적격으로 쓰였는지 먼저 알아야 겠지요? 모르신다면 목적격 관계대명사에 대해서 다시 한번 학습하시기 바랍니다. 특히, 선행사가 사람과 사물 공통으로 쓰이는 that은 접속사인지 관계대명사인지 정확히 구분해서 사용해야 하며, 관계대명사로 쓰일 경우에는 앞에 전치사를 둘 수 없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관계대명사를 생략하는 두 가지 경우, "목적격 관계대명사"와 "주격관계대명사+be동사"목적격 관계대명사는 타동사의 목적어로 쓰이는 경우와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이는 경우가 있는데 무조건 생략하는 것이 아니라 생략을 할 때 문장 속에서 관계대명사가 '동사의 목적어냐?' 아니면 '전치사의 목적어냐?'에 따라서 조심해야 합..

2013. 9. 23. 14:29
  • «
  • 1
  • 2
  • »

공지사항

  • 고1 수능 모의고사 문제집 및 정답지 다운로드
  • Sitemap

전체 카테고리

  • 이 블로그에 게시된 글 수 (508)
    • 영문법 (172)
    • 영어성경공부 (13)
      • 창세기(Genesis) (10)
      • 잠언(Proverbs) (3)
    • VOCA (71)
      • 중등 (35)
      • 고등 (9)
      • 토익 (3)
      • 숙어 (8)
    • 독해자료 (16)
    • 회화 (10)
    • 연습문제 (11)
      • 문법연습 (6)
      • 수능연습 (5)
    • 기출문제분석 (32)
    • 영어성적올리기 (9)
    • 영어참고서 (53)
    • 영어로 글 써보기 (44)
      • 영어로 쓰는 에세이 (33)
      • 영어로 쓰는 여행기 (11)
    • 블로그 운영 팁스(Tips) (15)
    • Q&A (62)
  • 최근 글
  • 최근 댓글

최근 글

최근댓글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영/어/공/부/와/스/토/리1/9/7/0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